목록역사 (48)
Lovos credit
계속해서 세상사에 대한 예언이 주어지나, 이번 본문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에 조금 더 주목하여 볼 필요가 있다. "북방 왕"은 "거룩한 언약"을 거스른다(28절). 그는 자신의 패배(29-30절)를 "거룩한 언약"의 탓으로 돌리며(30절) 하나님의 성전을 더럽히고(31절) 하나님의 백성을 타락시킬 것이다(32절). 비록 이 본문이 역사적으로는 안티오쿠스 에피파네스를 가리킬지라도, 악을 따르는 이 세상의 권력자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그들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을 미워할 것이다. 예수께서 일찍이 말씀하셨다. "너희가 세상에 속하였으면 세상이 자기의 것을 사랑할 것이나 너희는 세상에 속한 자가 아니요 도리어 내가 너희를 세상에서 택하였기 때문에 세상이 너희..
계속해서 구체적인 정치 상황들이 예언된다. 세상 권세끼리 서로 세력을 더 얻고자 하여 벌이는 전투와 계략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날샘의 바람과는 달리, 본문이 그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도리어 본문은 그저 담담하게 일어날 일들을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한 가지 주목할 점이 있다. 단순한 뉴스와는 달리, 본문은 이 역사가 그저 인간의 욕망대로 흘러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본문은 세상의 권력자들이 꾸민 일이 실패하는 이유로 "아직 때가 이르지 아니하였"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27절). 이는 역사의 주관자가 하나님이시며, 하나님이 허락하지 않으신다면 인간의 계획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믿음의 고백이다. 나의 계획을 겸손히 내려놓고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내가 되길 소원한다. 사람의 마..
본문은 계속해서 역사 가운데 일어날 일을 계시한다. "남방 왕"과 "북방 왕"의 전쟁이 계속해서 묘사된다(7-14절). 하지만 그 구체적인 기술 속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것은 본문이 원하는 바가 아닌 것 같다. 본문은 다니엘에게 어지러운 세상사를 미리 알려주는 부분이다. 그렇다면 세상사가 어지럽게 흘러가는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생각해 봐야 하는 것 아닐까? 본문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세상의 권세들은 각자의 욕심을 따라 이리 충돌하고 저리 충돌한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은 '하나님 손바닥 안'에 있다. 하나님은 그 모든 일을 미리 아실 뿐더러, 당신의 뜻대로 세상의 역사를 이끄신다. 그리스도인이라면 세상의 일들에 부평초처럼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를 믿고 우직하게 있는 자..
오늘 본문은 지난 본문에 나왔던 영적 존재가 다니엘에게 미래에 대한 계시를 주는 부분이다. 이 계시는 "참된 것"(2절)으로, 이후 벌어질 역사를 매우 구체적으로 담고 있다. 바사 왕국에 세 명의 왕이 일어난 이후 네 번째 왕이 일어나 그리스를 공격할 것이다(3절). 이는 아마도 다리오 왕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 "한 능력 있는 왕"이 일어나 세계를 지배할 것인데(4절), 그의 강성기에 그의 나라가 그의 뜻에 맞지 않게 갈라질 것이다(5절). 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그 뒤를 잇는 디아도코이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 후계자 중 "남방의 왕"이 강해질 것이고(6절), 그는 자신의 딸을 "북방 왕"에게 시집 보내어 화친을 도모한다. 하지만 공주의 힘이 쇠하면서 그 화친은 깨지게 될 것이다..
오늘 본문은 다니엘이 새로 받은 환상을 묘사한다(1절). 이 환상은 세상 나라들의 흥왕을 예언한 것이다(단 8:19-22). "두 뿔 가진 숫양"(3절)은 메대-바사 제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특히 아직 이 제국이 융성하기 전인 바벨론 제국 벨사살 왕 3년(1절)에 이 환상을 보았다는 기록은 예언의 초자연성을 강조한다. 반면 "숫염소"(5절)는 마케도니아 제국을 가리키며, 특히 "현저한 뿔"(5절)은 알렉산더 대왕을 가리킨다. 알렉산더가 "강성할 때"에 "꺾이고" 대신 나라가 넷으로 쪼개지는 것까지 오늘 본문에서 묘사되고 있다(8절). 우리가 본문에서 읽을 수 있는 것은 역사의 주관자가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정확한 역사가 그 일이 일어나기 전에 환상으로 주어졌다는 것을 생각해 보라. (이 환상이 역사적 ..
다니엘은 상급에 관심이 없음을 밝히고 이야기를 시작한다(17절). 그는 해몽에 앞서 선왕 느부갓네살의 이야기를 꺼낸다(18절). 느부갓네살의 왕위는 하나님이 허락하신 것이었지만(18-19절) 그는 이를 깨닫지 못하고 교만하게 행동했다(20절). 결국 하나님은 그를 징계하사 하나님의 주권을 가르치셨다(20-21절). 벨사살은 "그의 아들이 되어서 이것을 다 알고도"(22절) 교만방자하게 행동했다(22-23절). 자신이 하나님보다 높은양 성전 기물을 술잔으로 사용했고,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대신 헛된 신들을 찬양했다(23절). 하나님은 이제 그에게 심판을 내리신다(24절). 오늘 본문에서 내 눈을 사로잡은 것은 벨사살이 "이것을 다 알고도" 교만하게 행했다는 말이었다. 성경에서 역사는 우리에게 교훈을 주는 ..
본문은 금 신상 앞에 절하기를 거부하는 사드락과 메삭, 아벳느고를 고발하는 내용이다. "어떤 갈대아 사람들"이 "유다 사람들"을 참소했다(8절). 이들은 금 신상에 절하라는 왕의 명령(10절)과 그 처벌을 확인한 후(11절)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를 고발한다(12절). 느부갓네살은 이에 분노하여 그들을 끌고 오게 한다(13절). 여기서 나는 참소하는 자가 사용하는 언어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들은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가 "왕이 세"운 자들이라고 말한다(12절). 그리고 거기에 바로 덧붙여 말을 잇는다. "왕이여 이 사람들이 왕을 높이지 아니하며..." 왕이 세운 자들인데 왕의 명령에 복종을 안 하다니 이것은 더욱 괘씸한 일이다! 이것이 그들의 논리였던 것이다. 성경에 따르면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는..
오늘 본문은 단순히 기계적인 원인과 결과로 설명할 수 있는 인간의 역사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가르친다. 유다 왕국이 바벨론 제국에 이해 멸망한 것(1절)은, 국력의 관점에서 바벨론이 유다보다 강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이유는 "주께서" 유다를 넘기셨다는 것이다(2절). 또한 다니엘이 마음을 정하여 환관장에게 청원하였을 때(8절) 그 청이 수용된 것도, 단순히 다니엘이 이뻐보여서였을 수도 있겠지만, 성경은 "하나님이" 이루신 일이라고 선포한다(9절). 나는 내 주위에 일어나는 일들을 하나님의 섭리로 바라보고 있는가? 내가 교수님께, 목사님께, 주위 사람들에게 입는 은혜를 하나님이 허락하신 긍휼로 생각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