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통 (8)
Lovos credit
예수께서는 어느 바리새인의 식사 초대를 받아 가셨다(37절). 그런데 식사 전에 예수께서 손을 씻지 않으므로 바리새인이 이상하게 여겼다(38절). 이는 위생의 문제가 아니라 장로들의 전통을 따르는 문제였다(마 15:2, 막 7:3-4). 아마 이 바리새인은 랍비라 불리는 예수가 장로들이 정한 규칙대로 행동하지 않는 것에 의아함을 느꼈을 것이다. 예수께서는 바리새인들을 향해 신랄한 비판을 쏟아내신다. 바리새인들은 겉의 깨끗함은 따지지만 속의 깨끗함은 신경쓰지 않는다(39절). 하나님께서는 속까지 들여다보시는 분이다(40절). 그렇다면 속을 깨끗이 하는 것은 무엇인가? 예수께서는 "그 안에 있는 것으로 구제하"는 것이라 말씀하신다(41절). 즉 "탐욕"과 "악독"을 버리고(39절) 내게 있는 것을 다른 이들..
오늘 본문은 안식일에 관한 두 가지 에피소드를 수록하고 있다. 어느 안식일에 예수 일행이 밀밭 사이로 지나가게 되었다. 제자들은 그 밭의 이삭을 떼어 먹었고(1절), 그것을 본 어느 바리새인들이 규정을 어기는 것이라며 비난했다(2절). 예수께서는 다윗의 예를 들어 반박하시면서(3-4절) 인자가 안식일의 주인이라고 천명하셨다(5절). 다음으로, 다른 안식일에 예수께서 회당에 가르치러 들어가셨다가 손 마른 사람을 만나셨다(6절).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은 고발거리를 찾기 위해 예수를 예의주시하고 있었다(7절). 예수께서는 손 마른 사람을 일으켜 세우신 후(8절) 그들에게 안식일에 선을 행하는 것이 옳지 않느냐고 물으시고는(9절) 그 사람의 손을 회복시키셨다(10절). 그들은 분노하여 예수를 처치할 논의를 시작했..
보아스는 성문으로 올라가서 엘리멜렉의 가장 가까운 친족을 만난다(1절). 보아스는 그를 불러 앉히고(1절) 성읍 장로 열 명도 청하여 앉힌다(2절). 이는 그들을 증인으로 세우기 위함이었다(cf. 룻 4:9-11). 그리고 보아스는 말을 꺼낸다. "나오미가 엘리멜렉의 소유지를 팔고자 하는데(3절) 당신이 그것을 사겠는가? 당신이 사지 않는다면 내가 사겠다(4절)." 이는 아마 레 25장에 나오는 율법 규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떤 사람이 가난하여 토지를 잃었다면 그 가까운 친족이 그것을 다시 사서 돌려줘야 한다는 규정이다. 흥미롭게도 그 사람은 "내가 무르리라"라고 흔쾌히 답한다(4절). 그러자 보아스는 그 밭을 사기 위해서는 말론의 아내 룻도 취해서 말론을 대신하여 후사를 남겨야 한다는 점을 상..
요시야는 유월절을 크게 지켰다(1, 19절). 그는 제사장과 레위인을 격려하여 유월절을 준비했고(2-6절), 몸소 유월절 제물을 제공하였다(7절). 이를 본 방백들과 레위인들도 제물을 제공하였다(8-9절). 왕의 명령대로 제사장과 레위인이 서서(10절) 유월절 양을 잡고(11절) 하나님께 드린 후(12절) 규례대로 분배했다(13-15절). 이렇게 유월절을 지키고(16절) 이어 무교절을 7일간 지켰는데(17절) 이는 사무엘 이후 가장 큰 유월절 행사였다(18절). 오늘 본문은 열왕기하 23:21-23에 대응하는데, 열왕기의 간략한 서술에 비교할 때 구체적이고 자세한 기술이 눈에 띤다. 특히 본문에서 강조되고 있는 것은 모든 것을 율법과 전통에 따라 진행했다는 것이다. 요시야는 레위인들에게 "이스라엘 왕 다..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이 예수의 제자들이 장로의 전통을 범하는 것을 지적하자(1-2절) 예수께서는 전통보다 하나님의 계명이 우선임을 말씀하시며 그들의 위선을 폭로하신다(3-9절). 또한 무리에게 사람을 더럽게 하는 것의 비유를 베푸신다(10-11절). 제자들과의 대화 속에서, 예수께서는 종교 지도자들을 비판하는 한편(12-14절), 비유를 풀어 설명해 주신다(15-20절). 본문의 구조가 간단하지 않아 조금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문제의 발단부터 살펴보자.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은 "예루살렘으로부터" 와서(1절) 예수의 제자들이 식사 때 손을 씻지 않는 것을 가지고 시비를 걸었다(2절). 마태복음에서 예루살렘은 선지자들을 핍박하는 도시요(마 23:37), 예수께서 고난을 받으실 곳이다(마 16:21; ..
안드레의 발언으로 회의는 끝이 났다. 교회는 바울과 바나바를 안디옥으로 돌려보는 편에 유다와 실라를 함께 보내(22절) "안디옥과 수리아와 길리기아에 있는 이방인 형제들"에게 편지를 전달한다(23절). 이 편지 속에서 그들은 할례파의 주장이 교회의 지시 없이 주어진 것임을 분명히 하고(24절) 율법의 의무를 지킬 필요가 없음을 천명하였다(28절). 다만 이것이 방종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29절). 예루살렘 교회의 편지 속에는 유대인 "형제들"과 이방인 "형제들"의 교제(23절)가 아름답게 녹아 있다. 이방인 교회의 지도자인 바나바와 바울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위하여 생명을 아끼지 아니하는 자"로 사랑 받는 자들이었고(25-26절), 예루살렘 교회의 "형제 중에 인도자"(22절..
바울은 자신이 고린도 교회에 전달한 "전통"이 잘 지켜지고 있음에 만족을 표한다(2절). 하지만 그 전통 중에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던 것이 하나 있었으니 여자들이 머리에 두건을 쓰는 문제였다. 본문에서 바울은 그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바울의 대전제는 여자의 머리는 남자요,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요,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3절). 특히 남자와 여자의 관계에 대해 바울은 창조 기사를 인용한다. 여자가 남자에서 났고, 여자가 남자를 위하여 지음을 받았다(8-9절). 따라서 여자의 머리는 남자이다. 대전제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논증할 수 있다. 남자는 하나님의 영광이므로 머리를 가리지 않는 것이 옳은 것이지만(4, 7절), 여자는 남자의 권세 아래에 있다는 표를 드러내..
본문은 편지의 인삿말(1-2절)과 본론의 서두(3-5절)로 이루어져 있다. 인삿말에서 바울은 발신자와 수신자를 밝히고, 수신자 디모데에게 축복한다. 본문의 후반부에서 바울이 강조하는 것은 두 가지로 보인다. 첫 번째는 바울이 디모데에게 품은 마음이다. 그는 "쉬지 않고" 디모데를 생각한다고 말한다(3절). 이것이 거짓말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청결한 양심"이라는 표현까지 사용하고 있다. (NIV로 보면 조금 더 본문의 구조가 명확하게 보인다. "청결한 양심으로"라는 구는 "섬겨 오는"이 아니라 "감사하고"에 묶이는 부사구고, 그 양심을 부연하는 것이 "쉬지 않고 너를 생각하여"이다.) 또한 바울은 디모데의 눈물을 기억하며 그를 보고 싶어한다(4절). 4절만 보면 마치 눈물을 보는 것이 바울에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