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우매 (3)
Lovos credit
어제에 이어 전도자는 우매와 지혜에 대한 격언을 남긴다. 우매한 자들의 말은 결국 스스로를 패망하게 한다(12-13절). 그는 장래를 알 수 없으면서도 큰 소리를 치고(14절), 아무런 소득 없는 수고를 반복할 뿐이다(15절). 망하는 나라는 권세자들이 우매한 나라요(16절), 흥하는 나라는 권세자들이 지혜로운 나라이다(17절). 게으른 것은 화의 근원이다(18절). 잔치와 포도주는 이로운 것이지만, 돈은 악하게도 쓰일 수 있다(19절). 남에 대한 험담은 주의해서 해야 한다(20절). 오늘 본문은 크게 보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우매와 지혜에 대한 전반부(12-15절)와, 격언 모음집으로 보이는 후반부(16-20절)이다. 하지만 나는 후반부도 우매와 연관지어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전반..
다시 격언 모음집이다. 큰 주제는 우매와 지혜로 보인다. 우매가 조금이라도 있으면 전체를 망하게 만든다(1절). 지혜로운 사람은 성공할 것이지만, 우매한 자는 망할 것이다(2절). 심지어 우매한 자는 지혜가 없음을 이리저리 떠벌린다(3절). 주권자의 분노 앞에서는 겸손하라(4절). 주권자가 우매하면 재난이 된다(5절). 높은 자리에 올라야 할 사람들이 낮은 자리에 있고 낮은 자리에 있어야 할 사람들이 높은 자리에 있게 된다(6-7절). 지혜가 없으면 제 꾀에 당하게 되고(8-9절), 미련하면 손발이 고생한다(10-11절). 오늘 본문은 우매를 경계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리 시체가 향수에 들어가면 향수 전체를 못 쓰게 만드는 것처럼, 우매가 조금이라도 섞이면 지혜도 그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1절)..
오늘 본문은 삶과 지혜에 대한 통찰을 나눈다. 먼저 전도자는 삶과 죽음, 잔칫집과 초상집을 비교하여 무엇을 염두에 두어야 할지를 가르친다(1-4절). 모든 사람의 끝에는 죽음이 있고(2절), 이것을 기억하며 사는 것이 지혜이다(4절). 우매한 자들은 생각 없이 즐기나(6절), 그를 따르느니 지혜로운 자들의 견책을 받는 것이 더 유익하다(5절). 오늘 본문은 격언 형태로 되어 있고 다양한 수사법이 사용되고 있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가장 먼저 전도자는 좋은 "이름"과 좋은 "기름"을 비교한다(1절). 기름은 향료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향기를 날리는 이름이 향료보다 낫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설령 그렇게 세상을 산다 해도 그보다 세상을 떠나는 것이 더 낫다(1절).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