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약1 (5)
Lovos credit
어떤 율법교사가 예수께 질문을 드린다. 누가는 그 이유를 예수를 시험하기 위함이라고 기록하고 있다(25절). 그의 질문은 무엇을 하여야 영생을 얻느냐는 것이었다. 예수께서는 율법에 기록된 바를 되물으셨고(26절), 율법교사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고 되어 있다고 답한다(27절). 예수께서는 그렇게 행하면 살 수 있다고 답하신다(28절). 여기까지의 이야기는 '영생'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누가복음에는 이 "영생"이라는 단어가 단 두 번 등장하는데, 오늘 본문과 눅 18:18-30이 그것이다. 두 본문 모두 영생을 얻을 수 있는 길은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는 것이라고 가르친다. 흔히 하나님의 나라와 영생을 동일시하는데, 최소한 누가복음은 그렇게 보고 있지 않은 듯 하다. (특히 눅 18장에 따르면..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시는 길에 시장하셔서(18절) 무화과나무 한 그루를 보고 그리 가셨지만 아무 열매도 없자 나무를 저주하셨다(19절). 나무는 곧 말랐고(19절), 제자들이 이상히 여겨 여쭙자(20절) 믿음의 능력을 가르치신다(21-22절). 평행 구절인 마가복음 11:12-14, 20-25와 비교해서 보면 같은 사건에 대해 마태와 마가가 서로 다른 시선으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가가 성전 사건 앞뒤로 이 사건을 기록하고 있는 반면 마태는 성전 사건 이후로 모아서 정리했고, 마가는 "무화과의 때가 아니"었다는(막 11:13) 난해한 구절을 기록했지만 마태는 그것을 뺐다. 이로써 마태는 좀 더 '믿음'이라는 주제에 집중하는 효과를 얻는다.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시자 바로 마른 것(19절)은..
정신 없는 하루를 보내느라 큐티를 놓쳤다. 이틀 분을 묶어서 묵상한다. 야고보서는 여러 소주제가 연속해서 나오기 때문에 소주제 별으로 살펴보는 것이 편하다. 오늘 본문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부의 허망함(9-11절), 시험을 참으라(12절), 시험은 어디에서 오는가(13-18절), 성내지 말라(19-21절), 말씀을 행하라(22-25절), 경건(26-27절). 야고보는 이전 본문에 이어 재차 시험을 참으라고 권면한다. 이는 그 결과가 생명의 면류관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12절). 하지만 시험이 하나님께로부터 나오는 것은 아니다(13절). 그는 "온갖 좋은 은사와 온전한 선물"을 베푸시는 분이지 우리를 시험하는 분이 아니기 때문이다(17절). 시험은 자기 욕심에 미혹되는 것이다(14절). 즉, 유혹이 닥쳐..
사도 야고보는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에게 편지를 쓴다(1절). 그는 시험 가운데 인내를 이루라는 권면(2-4절)과 지혜를 간구하라는 권면(5-8절)으로 편지를 시작한다. 시험은 인내를 만들어 내기에(3절) 기쁘게 받을 만한 것이다(2절). 이는 사도 바울이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룬다고 설명한 것(롬 5:3-4)과 같은 맥락에 위치한다. 야고보는 인내를 이룰 때 아무 부족함 없이 온전해진다고 권면한다(4절). 여기 이은 두 번째 권면은 지혜에 관한 것이다. 지혜가 부족하면 하나님께 구하라(5절). 다만 의심하지 말라(6-8절). 아, 인내와 지혜, 이 얼마나 내게 필요한 가치인가. 지금 나를 시험하는 "여러 가지 시험"이 내 앞에 놓여 있다. 이를 "온전히 기쁘게 여기라"니, 감당하..
여호와의 사자가 길갈에서 보김으로 올라와 이스라엘 백성을 책망한다(1절).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말씀을 따르지 않고 가나안 족속과 언약을 맺으며 편안한 길을 추구하였기에, 하나님 역시 약속하신 도움을 주시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이었다(1-3절). 이스라엘은 소리 높여 울고(4절) 그 장소를 보김이라 하였다(5절). 길갈은 여호수아 때 이스라엘의 정치적, 군사적 중심지였다. 길갈은 요단을 건널 때 구한 돌 열둘이 서있던 곳(수 4:20)이요, 출애굽 2세대가 최초로 할례를 행한 곳(수 5:2-9)이다. 여호수아는 길갈 진영을 중심으로 군대를 움직였다(수 10:7, 9, 15, 43). 그리고 여호수아 본인은 가나안 정복이 어느 정도 완료되고 길갈에 자리를 잡는다(수 14:6). 길갈에 있던 하나님의 사자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