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변화 (3)
Lovos credit
예수를 믿기로 결단한 사울은 다메섹에서 며칠 머무르며(19절)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20절)이요 "그리스도"(22절)임을 전파하였다. 다메섹에 사는 유대인들은 사울의 변화 앞에서 놀라고(21절) 당혹해 했다(22절). 며칠이 지나자 유대인들은 사울을 죽이려고 하였고(23, 24절), 이 사실을 안 사울은 성문을 피해 성벽으로 탈출하였다(25절). 사울은 다메섹을 떠나 예루살렘으로 향했는데, 예루살렘의 제자들은 사울을 믿지 못했다(26절). 이 상태를 중재한 것이 바나바로, 그는 사울의 신원을 보증하며 사울이 겪은 일을 설명하였다(27절). 이제 사울은 제자들과 함께 다니며(28절) "주 예수의 이름으로" 증거하고 변론하였다(29절). 여기서도 그를 대적하여 유대인들의 음모가 일어났고(29절) 사울은 ..
오순절 날이 이르렀을 때 제자들은 한 곳에 모여 있었다(1절). 하늘에서 바람 같은 소리와 불의 혀처럼 갈라지는 것들이 나타났고(2, 3절) 모든 제자들이 "성령의 충만함"을 받았다(4절). 그 증거로 드러난 것은 그들이 "다른 언어들로 말하기 시작"했다는 것이었다(4, 8-11절). 명절을 맞아 예루살렘으로 온 세계 각국의 유대인들(5절)은 이를 듣고(6절) 신기하게 여기며(7절) 당황스러워 했다(12절). 성령이 제자들에게 임하시자 그 증거는 두 가지로 드러났다. 성령을 받은 자들이 보고 들은 것이 있었고(2, 3절), 다른 이들까지 알 수 있는 증거, 즉 "각 언어로 하나님의 큰일을 말"하게 된 것이 있었다(11절). "갈릴리 사람"인 제자들이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의 다양한 언어를 구사한다는 것..
로마서 11장까지 유대인과 이방인을 향한 하나님의 구원 섭리에 관해 이야기한 바울은, 새로운 주제로 들어선다. 새로운 주제는 바로 '교회'이다. 유대인과 이방인이 복음 앞에 하나가 되었다면, 그 하나 된 공동체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바울은 오늘 본문에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바울은 구약의 제사 대신 우리 몸을 드리는 제사를 이야기한다. 이것이야말로 "너희가 드릴 영적 예배"이다(1절). 혹여 오해하는 사람이 있을지 몰라 바울은 바로 이어 몸으로 드리는 제사가 무엇인지 설명한다. 몸을 산 제물로 드리는 것은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의 뜻을 구별하는 것이다(2절). 바울의 논점은 간단하다. 믿음으로 구원을 받은 성도라면, 이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