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눅21 (4)
Lovos credit
성전 파괴를 심판의 정점으로 묘사하신 예수께서는, 나무의 변화를 보고 여름이 가까운 것을 알듯이(29-30절), 이런 일들이 일어난다면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는 징표라고 말씀하신다(31절). 그러면서 이 일들은 이 세대가 지나가기 전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씀하시며(32절) 이 말씀의 확실성을 한 번 더 강조하신다(33절). 그리고 제자들에게 스스로 조심하라는 당부를 주시며(34-35절) 항상 기도하며 깨어 있으라고 가르치신다(36절). 오늘 본문 역시 성전 파괴와 주님 재림의 이야기가 뒤섞여 있다. 성전 파괴는 심판의 정점인 동시에(눅 21:22), 재림의 징조이다(31절). 그리고 주님의 예언(32절)대로 이후 백 년이 지나지 않아 성전 파괴는 현실이 되었다. 이제 징조가 다 나타났으니 주님이 곧..
예수께서는 계속해서 예루살렘의 멸망과 세상 끝에 대해 예언하신다. 예루살렘이 군대에 둘러싸이면(20절) 기록된 모든 것이 이루어질 것이다(22절). 어디에 있든 무조건 도망쳐야 한다(21절). 특히 임산부들과 갓난아기를 데리고 있는 엄마들이 큰 어려움을 당할 것이다(23절). 이스라엘 백성은 죽거나 끌려갈 것이고 예루살렘은 이방인들에게 밟힐 것이다(24절). 하늘과 바다에 징조가 나타날 것이고(25절) 사람들은 공포에 시달린다(26절). 그 때에 예수께서 다시 오실 것이다(27절). 따라서 이런 징조를 보거든 "일어나 머리를 들라"(28절). 오늘 본문은 다소 어렵다. 예루살렘의 멸망(20절)과 주님의 재림(27절)이 동시에 다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은 마치 예루살렘이 멸망하는 날이 예언이 모두 성취..
오랜만의 큐티다. 연말연시에 이리저리 다녀오느라 바빴다. 다시 페이스를 올려 큐티를 재개하려 한다.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계실 때, 어떤 사람들이 성전의 아름다움을 예수께 아뢰었다(5절). 그러자 예수께서는 이 성전이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질 것이라고 예언하셨다(6절). 사람들은 그 때와 징조를 다시 여쭈었고(7절), 예수께서는 미혹 받지 않도록 주의하고(8절) 두려워 하지 말라며(9절) 구체적인 예언을 주신다. 장차 나라들 간의 큰 전쟁이 있을 것이고(10절), 많은 자연재해와 하늘의 "징조"들이 일어날 것이다(11절). 그리고 그 전에 예수를 따르는 자들은 박해를 받을 것이나(12절), 그 박해가 증거가 될 것이다(13절). 어떤 말을 해야할지 미리 고민할 것 없이(14절), 그 때..
예수께서는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부르는 것에 관해 말씀하신다(41절). 그리스도는 다윗의 자손인가? "다윗의 시"라는 표제를 달고 있는 시편 110편에서는 그리스도를 "주"(אָדוֹן)라고 부른다(42-43절; 시 110:1). 만약 다윗이 그리스도를 "주"라고 불렀다면, 어떻게 그의 자손이 될 수 있겠는가(44절)? 즉, 본문의 이야기는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으로 부르면 안 된다는 가르침을 주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마태는 자신의 복음서 서두에서 그것을 못박아 놓고 시작한다(마 1:1). 또한 불과 몇 쪽 전 누가복음 18장에서도 맹인은 예수를 "다윗의 자손"으로 부른다(눅 18:38-39). 나는 우리가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수를 "다윗의 자손"으로 부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