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os credit

삼하 15:30-37 본문

큐티

삼하 15:30-37

로보스 2013. 4. 27. 03:10

다윗은 자신을 따르는 백성들과 함께 슬픔에 잠겨 예루살렘을 떠난다(30절). 아히도벨이 역도 중의 하나라는 것을 들은 다윗(31절)은 자신의 친구 후새(37절)를 예루살렘에 남겨두어 아히도벨의 모략을 무력화시키려 한다(32-34절). 또한 제사장 사독과 아비아달을 통해 압살롬의 동태를 살피고자 한다(35-36절). 한편 압살롬은 마침내 예루살렘에 입성한다(37절).


본문에서 받은 첫인상은 "슬픔"이었다. 다윗과 백성들은 "자기의 머리를 가리고 울며" 감람산으로 올라갔다(30절). 후새는 "옷을 찢고 흙을 머리에 덮어쓰고" 다윗에게 나왔다(32절). 왕자가 왕을 대적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왕은 하나님의 궤를 버려둔 채 광야로 도망치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누가 슬프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들의 고통을 더한 것은 지략가 아히도벨이 압살롬 군에 합류했다는 것이었다. 아히도벨은 다윗 왕의 모사였다(대상 27:33). 그가 베푸는 지략은 하나님의 계시처럼 받아들여졌다(삼하 16:23). 그런 그가 반란군에 들어갔으니, 향후 다윗과 그의 백성이 겪을 고초는 불을 보듯 뻔한 것이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다윗은 탄식한다. "여호와여 원하옵건대 아히도벨의 모략을 어리석게 하옵소서!" (31절) 하지만 다윗은 그저 이렇게 기도만 올리고 끝내지 않는다. 그는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한다. 먼저 아렉 사람 후새를 압살롬 곁에 심어두어 아히도벨을 견제하게 한다(34절). 또한 다윗에게 동조하는 제사장들과 그들의 아들들을 정보통으로 사용하여 압살롬의 동태를 살핀다(35-36절).


어쩌면 어제의 큐티와 모순되는 것처럼 보일는지도 모르겠다. 다윗은 분명 하나님 앞에서 "선히 여기시는 대로 내게 행하시옵소서"(삼하 15:26)라고 기도했다. 이는 언뜻 보기에 모든 처분을 하나님께 맡기고 "운명"에 순응하려는 태도인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다윗은 적극적으로 주어진 상황에 대처하였다.


하나님의 주권을 신뢰하는 그리스도인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 운명론이다. "내가 어떻게 하든 하나님이 뜻하신 대로 모든 것이 흘러갈테니 나는 그저 머물러 있으리라." 하지만 성경에 기록된 다윗의 예는 이러한 입장을 단호히 배격한다. 마 25장에 나오는 달란트 비유는 이를 좀 더 명확하게 설명해준다. 한 달란트 받은 종은 주인을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사람으로 보았다(마 25:24). 하지만 주인은 그를 가리켜 "무익한 종"(마 25:30)이라 말하며 엄히 벌한다.


나는 하나님 보시기에 착하고 충성된 종인가, 아니면 무익한 종인가? 모든 주권이 하나님께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매 순간 하나님의 청지기로서 지혜롭게 처신하고 있는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