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화 (3)
Lovos credit
오늘 본문은 젊은 여자들이 마땅히 가져야 할 자세를 가르친다. 바울은 젊은 여자들을 가정에 제한된 존재로 보고 있다. 여자의 의무가 남편과 자녀를 사랑하고(4절) "집안 일"(οὐκουρός)을 하는 것(5절)이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바울은 여자가 남편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말한다(5절). 과연 이 본문을 현대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본문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 모든 그리스도인 여자들은 남편에게 복종하고 집안에만 쳐박혀 있으라고 해야 할까? 나는 이 본문을 문화적 배경 속에서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편지가 쓰여진 1세기 지중해 문화권에서는 남녀의 역할 차이가 확연했다. 그리고 그 역할을 벗어나는 자들에 대해 사회적인 인식이 좋지 않았다. 본문에서 이런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여자가 남..
이제 이야기의 배경은 자연스레 안디옥 교회가 되었다. 할례주의자들이 안디옥 교회에 와서 할례를 가르치자(1절) 바울과 바나바가 반론을 제기하여 큰 분쟁이 일어났다(2절). 안디옥 교회에서는 예루살렘으로 대표자들을 파송하였고(2절) 그들은 가는 길에 베니게와 사마리아 교회를 방문하여 이방인 사역을 보고하였다(3절). 예루살렘에 도착한 그들은 이곳에서도 이방인 사역을 보고하였고(4절), 이 이야기를 들은 일부 믿는 바리새인들이 이방인들도 율법을 그대로 준수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였다(5절).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도들과 장로들이 논의를 위해 모였다(6절). 많은 발언이 오간 후에(7절), 베드로가 이방인들에게 주어진 구원의 확실함과(8-9절) 율법의 무용성을 설파한다(10-11절). 오늘 본문에서는 "교회란..
바울은 "머리"에 관한 자신의 논지를 밀고 나아간다. 남자의 긴 머리는 부끄러움이요, 여자의 긴 머리는 영광이라는 것이다(14-15절). 그가 의존하는 것은 "본성"(14절)과 "관례"(16절)이다. 사실 이 구절을 어디까지 우리가 받아들여야 하는지는 분명치 않다. 흔히 개신교회에서는 이 구절을 당시의 문화라는 컨텍스트에서 해석하곤 하는데, "관례"는 그렇다 치고 "본성"은 좀 더 기초적인 개념 아닌가? 교회에 분쟁이 있는 것은 어느 정도 당연한 것이다(18절). 이는 서로 다른 사람들이 서로 다른 생각들을 주장할 때, 그 중에서 옳은 것을 고를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19절). 하지만 고린도 교회의 경우는 지나쳤다. 바울은 그들의 논쟁이 "유익이 못되고 도리어 해로움"이 된다고 말한다(17절). 우리 ..